본문 바로가기
리눅스/부팅

[리눅스] PXE 부팅

by 상달군 2024. 1. 22.
728x90

PXE 

  • 1999년에 개발된  Preboot eXecution Environmen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부팅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술
  • CD-ROM이나 USB와 같은 데이터 저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영체제 설치 가능
  • 장점
    • 동시에 여러 시스템에 OS를 설치
    • 네트워크 속도에 따른 설치 속도 (인터넷이 빠를수록 설치가 빠르다.) 
  • PXE 서비스 진행 순서
    1. PXE로 네트워크를 통해 부팅 시도
    2. DHCP서비스를 통한 타겟에 IP할당
    3. PXE 부트 메뉴에서 설치할 OS 선택
    4. TFTP서비스를 통한 OS의 설치용 커널 로딩

PXE Booting 필수 구성 요소

1. PXE 서버

  • DHCP서버
  • TFTP서버
  • KickStart

2. PXE 클라이언트 


PXE Booting 동작

  • IP 할당을 위한 DHCP 요청을 Broadcast 형태로 해당 Subnet에 전달한다. (DHCP: Discover)
  • 전달받은 DHCP 요청에 대해 DHCP Server가 Client한테 특정 IP에 대한 할당을 제안한다. (DHCP: Offer)
  • 네트워크 연결 이후에 Client는 DHCP Server로부터 전달받은 IP 및 TFTP Server의 주소 정보를 토대로 TFTP Server의 부트로더를 다운로드한다. (TFTP: Request/Response)
  • 다운받은 부트로더를 통해 Kernel파일을 로드하여 OS 인스톨러를 수행한다 (Boot Process: Load the Kernel)
  • 이후 동작은 기존 OS 설치 과정과 유사하다 (OS 패키지 파일을 네트워크로 설치하는 등 몇몇 부분에 대해 차이가 있음)

참조: https://velog.io/@chl4651/PXE-%EB%B6%80%ED%8C%85%EC%9D%B4%EB%9E%80#5-os-installe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