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팅(Boot)
컴퓨터를 켜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초기 상태로 만드는 일을 부팅이라고 하는데, 웜(warm)부팅과 콜드(cold)부팅의 두 가지 부팅방법이 있다.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처음 상태로 만드는 작업을 부팅(booting=기동) 또는 부트(boot)라고 한다.
처음 컴퓨터를 켜면 시스템을 검사하는 POST(자기진단시험:Power On Self Test)을 한 후에 운영체제를 램으로 읽어들인다. 이상 없이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램으로 읽어들이면 컴퓨터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럴 경우 '부팅이 되었다'고 말한다.
웜부팅(Warm Boot)
이미 컴퓨터를 켠 상태에서 다시 부팅을 할 때는 'CTRL + ALT + DEL'을 동시에 눌러서 다시 부팅하는 방법을 쓰는데, 이 방법을 웜부팅이라고 한다. 도스에서는 웜부팅 사용 빈도가 높았지만 윈도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윈도우에서는 오류가 나서 블루스크린(파란 화면)이 나왔을 때 웜부팅을 사용하며, 드라이버나 프로그램 설치와 같은 작업이 끝난 후 재시작을 할 때 웜부팅으로 기동한다.
웜부팅은 시스템을 검사하는 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부팅시간이 빠르고, 컴퓨터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재부팅할 때는 가능하면 웜부팅을 이용해야 한다. 다시 부팅할 때까지도 램이 따뜻한 상태로 남아있다 하여 웜부팅(warm booting)이라고 한다.
앞서 말한 과정에서 POST 즉 power-on self test 과정이 생략되는 것을 웜부팅(warm booting)이라 말한다.
- 주요 부분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 컴퓨터를 부팅시키는 것
- POST 검사단계를 거치지 않음
- 시스템을 검사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부팅 시간이 빠르고, 컴퓨터에 무리를 덜 줍니다.
콜드부팅(Cold Boot)
전원스위치나 리셋(Reset)단추를 눌러서 컴퓨터를 다시 켜는 것은 콜드부팅(cold booting)이라고 하는데, 컴퓨터에 무리를 주므로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다. 전원을 켤 때 높은 전압과 과부하가 생기기 때문에 콜드부팅을 자주 하는 것은 좋지 않다. 웜부팅과는 달리 램을 차갑게 만들어 램 안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완전히 지운다고 하여 콜드부팅이라고 한다.
- 주요 부분에 전기가 통하지 않고, 전원이 모두 꺼져 있던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를 눌러 컴퓨터를 다시 키는 것
- POST 검사단계를 거침
- 컴퓨터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POST(자기진단시험:Power On Self Test)
부팅을 위해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를 켜면, 제일 먼저 롬 바이오스라고 불리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 프로그램은 전원이 꺼지더라도 기억할 수 있도록 ROM이라는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다.
보통 부팅과정 중 가장 먼저 실행되는 것은, POST 즉 Power On Self Test라고 불리는 검사단계 인데, 이 과정에서 실행되는 작업은 ROM 바이오스의 내용에 따라 다소 다르긴 하지만, 대개 메인 메모리로 사용되는 RAM과 키보드 그리고 하드디스크 등을 하드웨어를 체크해보고 만약 여기에 문제가 있으면, 삑하는 소리와 함께 에러메시지를 화면에 나타내고 부팅이 중단된다.
이러한 테스트들은 컴퓨터가 동작하기 위해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이 실제로 존재하고 또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단계인데,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끝난다.
'리눅스 > 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PXE 부팅 (0) | 2024.01.22 |
---|---|
[리눅스] GRUB에 대해서 (0) | 2023.12.04 |
[리눅스] 부트로더 (0) | 2023.11.27 |
[리눅스] legacy BIOS vs UEFI 방식의 차이 (0) | 2023.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