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파이썬의 변수
- 변수란 ?
- 변수의 데이터 타입(자료형)
- 변수의 삭제
2.파이썬의 입력
- input() 함수
- split() 함수
- int() 함수
03. 파이썬의 변수.ipynb
1. 변수란
- 사용할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기억하는 공간 (=메모리)
-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공간의 주소값을 가르키고 있다.
-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 객체란 우리가 지금껏 보아 온 자료형의 데이터(값)와 같은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1-1 변수의 이름을 작성하는 방법
- 문자로 시작 해야 하며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예) num1 =10 , Num1 =10, NUM1= 10는 전부 다른 변수이다.
- 데이터를 표한할 수 있는 이름으로 지어야 함 // a = 'sangdal', b = 20 이런식으로 변수 이름을 지을시 a,b가 의미하는 바를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에 지금은 개발자는 알고 있어도 나중에는 확인 하기 힘들어짐.
- 미리 예약된 키워는 사용할 수 없다.
2.변수의 데이터 타입(자료형)
- 자료가 저장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 type() 함수로 확인 가능하다.
- 예)
name = '김사과'
age = 20
weight = 50.5
isLover = False
print(type(name) ) <class 'str'>
print(type(age) ) <class 'int'>
print(type(weight) ) <class 'float'>
print(type(isLover) ) <class 'bool'>
※ bool 자료형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True,False 2가지 값만을 가질 수 있다.
3.변수의 삭제
- del 함수: 객체를 삭제하는데 사용한다. 예) del isLover
04.파이썬의 입력.ipynb
1. input()
-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함수 [여기서 사용자는 개발자를 뜻한다.]
- 데이터를 문자형으로 입력받는다.
- input()함수 사용시 커서가 입력을 대기 하고 기다리게 된다.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이와 같이 사용시
이와 같이 괄호 안에 있는 내용을 프린트 해주고 입력값을 기다린다.
2.split()
- 문자열 자료형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함수들중 한가지.
name, age, weight = input('이름, 나이, 몸무게를 차례대로 입력하세요:').split(' ')
-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
- 맨 뒤에 있는 .split(' ') // ' ' 따음표 안에 있는걸 기준으로 끊어서 저장한다.
- split()은 문자열의 기능(옵션)중 하나이다.
※ split()와 같은 내장 함수들은 보통 변수이름뒤에 '.'으로 연결 하여 사용한다.
3.int()
- 문자열을 숫자(정수)타입으로 변환 해주는 함수
- 보통 input()으로 값을 입력받을땐 문자로 입력을 받기 때문에 우리가 숫자를 적어 넣어도 컴퓨터는 그것을 문자로 입력 받게 된다. 그때 int()를 이용하여 문자타입을 숫자(정수)타입으로 변환 해줄수있다.
728x90
'개발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3.07 파이썬의 제어문(반복문) (2) | 2023.03.07 |
---|---|
23.03.07 파이썬의 튜플, 제어문(조건문) (0) | 2023.03.07 |
23.03.06 파이썬의 문자열 다루기, 리스트 (0) | 2023.03.06 |
23.03.03 (0) | 2023.03.03 |
23.03.02 (0) | 2023.03.02 |
댓글